(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하얼빈, 중국 2025년 7월 11일 -- 신화망(Xinhuanet) 보도자료: 중국 헤이룽장성의 성도인 하얼빈시가 대표 관광지인 '빙설대세계(Ice-Snow World)'의 2025년 여름판 운영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확장 계획은 5개의 시그니처 볼거리와 10개의 혁신적인 체험 콘텐츠를 새롭게 선보이며, 겨울철 중심 관광지였던 하얼빈을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관광 허브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이번 여름에 선보일 5개의 시그니처 볼거리는 '제23회 중국하얼빈 국제맥주축제', '강변 공연 - 하얼빈과의 만남', '파노라마 판타지 쇼 - 왕의 전차', '드림 아이스 앤 스노우 파빌리온', '태양도 풍경구의 빙설 아트 갤러리' 등이다. 또한 관광객 체험을 더욱 풍성하게 할 10개의 시그니처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스노우 라임 라일락 횃불 광장'은 체크인 장소가 될 예정이며, 눈송이 모양의 대관람차에서는 도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친환경 캠핑 구역과 RV 허브도 마련되어 증가하는 레저 숙박 수요를 충족시킨다. 최첨단 기술도 중심 무대로 등장한다. '아이
4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에 따른 쾌거 런던, 2025년 7월 10일 -- 글로벌 회계, 감사 및 자문 네트워크인 무어 글로벌(Moore Global)이 국제회계포럼 및 어워드 2025(International Accounting Forum and Awards 2025, IAFA 25)에서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올해의 네트워크(Network of the Year)로 선정됐다. 비비안 뮤어(Vivienne Muir) 무어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가 6월 28일 런던에서 열린 IAFA 25 시상식에서 이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다. 비비안 뮤어 최고운영책임자는 "이 상은 우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품질, 헌신, 협업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이는 회원사와 전 세계 직원들의 뛰어난 업적을 반영한다. 이 일을 가능하게 해준 무어의 모든 분께 진심 어린 감사와 축하를 전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심사위원단은 무어 글로벌 네트워크가 작년에 달성한 주요 성과와 각종 수상 이력을 고려한 후 만장일치로 결정을 내렸다. 2024년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칭다오, 중국 2025년 7월 10일 --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를 선도하는 하이센스(Hisense)가 시장조사기관 퓨처소스 컨설팅(Futuresource Consulting)에 의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동안 전 세계 사운드바 판매량 기준 가장 빠르게 성장한 브랜드로 선정됐다. 이는 오디오 기능 혁신, 프리미엄 성능의 범용화, 전 세계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제품 개발을 위해 하이센스가 줄기차게 노력해온 결과다. 지난 5년간 하이센스는 모든 청취 취향과 환경을 고려한 사운드바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 전문가급 음질을 추구하는 사용자를 위한 U 시리즈는 청취자를 스튜디오급 사운드에 몰입시킨다. AX 시리즈는 풍부하고 다차원적인 서라운드 오디오로 진정한 Dolby Atmos 경험을 가정에서 느끼게 해주며, HS 시리즈는 대화와 베이스 음질을 강화해 모든 TV 시청 경험을 업그레이드해준다. 하이센스의 빠른 성장은 업계 전문가들로부터도 인정받고 있다. 테크레이더(TechRadar)는 AX5125H가 합리적 가격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Dolby Atmos 성능을 나
상하이, 2025년 7월 10일 -- 2025년 초부터 상하이의 인바운드 관광과 소비가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1월부터 6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425만 명의 관광객이 상하이를 찾았고, 상하이를 떠나는 여행객의 면세 판매액도 같은 기간 85% 늘어났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의 소비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7월 4일 웨스트 번드 그랜드 극장(West Bund Grand Theater)에서 2025 '상하이 썸머' 국제 소비 시즌(2025 "Shanghai Summer" International Consumption Season) 개막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에서는 글로벌 방문객이 상하이에서 더 즐겁게 여름을 보내고, 240시간 무비자 환승 정책을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10대 벤치마크 활동 ▲약 300가지의 맞춤형 및 주요 도시 행사 ▲14종의 상하이 썸머를 테마로 한 제품 ▲2종의 테마 서비스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동방항공(China Eastern Airlines)은 100만 장의 할인 항공권과 10만 건의 무료 반일 투어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베이징 2025년 7월 10일 -- '목각의 수도'라고 불리는 중국 동부 저장성 둥양시는 목각 및 장미목 가구 산업으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 도시는 2024년 말까지 총매출 887억 3천만 위안(미화 약 122억 달러)을 기록했다. 중국 최초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중 하나인 둥양 목각은 당나라(618-907)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13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장인들의 손을 거치며 둥양 목각은 예술적 기원을 넘어 그 이상으로 발전해 왔다. 이 도시는 목재 유통, 제품 디자인, 제조 및 판매에 이르는 독자적이고 포괄적인 산업 경로를 구축했다. 목각 산업의 견실한 성장 속에서 둥양시 정부는 기업들이 표준화되고 체계적이며 친환경적이고 건전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다. 시장 통합에 따라 둥양시에는 현재 1372개의 관련 기업이 입주해 있다. 이 가운데 국가급 하이테크 기업 3개와 지정 규모 이상의 기업 45개가 포함되어 있어 둥양시은 핵심 국가 생산 허브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인재 계승 및 육성을 위한 강력한 생태계가 이
Styrolution® PS 158K BC100으로 제작된 식품 트레이가 일본의 주요 유통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 혁신적인 소재는 100% 바이오 기반 재생 원료로 생산되었으며, 기존 폴리스티렌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172%까지 절감합니다. 글로벌 식품 접촉 규정을 완벽히 준수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했습니다 도쿄, 2025년 7월 10일 -- 스티렌 계열 소재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INEOS Styrolution이 100% 바이오 기반 재생 원료로 제조된 폴리스티렌 제품 Styrolution® PS 158K BC100의 상업화에 성공했습니다. 해당 소재는 2025년 초부터 일본의 주요 유통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식품 트레이 형태로 출시되어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Styrolution® PS 158K BC100은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 인증을 받은 매스 밸런스(Mass Balance) 방식을 적용하여, 100% 바이오 기반 원료로 생산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칭다오, 중국 2025년 7월 9일 --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를 선도하는 하이센스(Hisense)가 혁신적인 116인치 UX TV를 출시하며 최첨단 RGB-MiniLED 로컬 디밍 기술과 기록적인 화면 크기로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FIFA 클럽 월드컵 2025™(FIFA Club World Cup 2025™)의 공식 파트너사인 하이센스는 이번 대회를 통해 세계 무대에 자사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경기장 주변 광고에 등장한 '#RGB-MiniLED TV' 메시지는 기술 혁신에 대한 하이센스의 자신감을 반영한다. 하이센스는 업계 최초로 RGB-MiniLED TV의 양산에 성공했다. UX TV는 단일 색상이 아닌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각각의 Mini-LED를 수별 개의 로컬 디밍 존에 사용한다. 이를 통해 BT.2020 색 영역의 95%까지 구현하고, 최대 밝기 8000니트(nits)를 달성해 정밀한 색 그러데이션과 선명한 하이라이트 표현이 가능하다. 116인치 Infinity Vision 디스
시드니, 2025년 7월 9일 -- FP 마켓츠(FP Markets)가 창립 20주년을 맞이하며, 글로벌 온라인 트레이딩 분야에서의 혁신과 성장을 기념했다. 2005년 시드니에서 설립된 FP 마켓츠는 그동안 세계 주요 금융 지역에 진출한 다중 규제 브로커로 성장했다. 현재 전 세계에 3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FP 마켓츠는 개인 트레이더와 기관 고객 모두에게 기술, 상품 다양성, 규제 준수를 핵심 가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 트레이더를 위한 상품 및 인프라 FP 마켓츠는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SIC), 키프로스 증권거래위원회(CySEC), 남아프리카공화국 금융산업행위감독원(FSCA), 모리셔스 금융서비스위원회(FSC), 바하마 증권위원회(SCB), 케냐 자본시장청(CMA) 등 여러 규제 기관의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선스는 각 지역의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강력한 운영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FP 마켓츠는 높은 수준의 규제 준수, 안정적인 운영, 고객 자금 보호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고객 기반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프라 측면에서, 트레이더들이 슬리피지(sli
서울, 대한민국, 2025년 7월 9일 -- 2025년 7월 9일 오전, 아시아 최대 ETF 발행사 중 하나인 CSOP 자산운용(CSOP Asset Management Limited)이 서울에서 '홍콩-한국 캐피털마켓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폴 찬 재무부 장관이 포럼에 초청받아 직접 기조 연설을 진행했으며, 한국의 국민연금공단을 비롯한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의 다양한 기관투자자 및 금융기관 대표 50여 명이 참석했다. 본 포럼에서는 한국의 최신 투자 트렌드를 심도있게 논의하고, 홍콩 시장의 투자 가치 및 잠재력, 특히 홍콩이 중국과 국제 시장을 연결하는 '슈퍼 커넥터'로서의 핵심 역할을 중점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는 한국 기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천마오보 홍콩 재무장관은 기조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 "지난해 18% 상승에 이어, 홍콩 증시는 올해 들어서도 약 20% 추가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평균 일일 거래대금은 2,400억 홍콩달러를 넘었고, 상반기 IPO 자금 조달 규모는 1,000억 홍콩달러를 돌파해 전년도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5년 7월 9일 -- 라캿 인도네시아 은행(Bank Rakyat Indonesia (Persero) Tbk, IDX: BBRI)이 2025 포춘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2025 Fortune Southeast Asia 500 list)에 이름을 올리며 국제적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 BRI는 인도네시아 금융기관 중 가장 뛰어난 실적을 기록했으며, 동남아 금융 부문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BRI는 매출 기준 동남아 500대 기업 중 14위에 올랐다. 이번 성과로 BRI는 싱가포르의 SEA와 싱가포르항공(Singapore Airlines), 태국의 차로엔폭판푸드(Charoen Pokphand Foods), 말레이시아의 메이뱅크(Maybank) 등 유수 기업들을 제치고 역내 최상위권 기업 반열에 올랐다. 이번 성과는 지난 1년간 BRI가 보여준 견고한 재무 실적 덕분이다. 포춘 공식 발표에 따르면 BRI는 해당 회계연도에 미화 176억 8000만 달러의 연결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말 기준 전년 대비 18.6% 증가한 수치다.
홍콩, 2025년 7월 9일 -- 코헨 앤드 스티어스(Cohen & Steers, Inc.)(NYSE: CNS)는 7월 9일 아시아 기관 영업 부문 부사장 및 한국 총괄로 신윤현 (Andrew Shin)씨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신 부사장은 한국 내 기관 투자 사업 개발과 고객 서비스 업무를 총괄하며, 아시아 지역 전체의 기관 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신 부사장은 홍콩에서 일하면서 아비 슈로프(Abhi Shroff) 아시아•태평양(APAC) 기관 영업 총괄에게 보고한다. 20년 이상의 투자 자문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온 신 부사장은 최근까지 윌리스 타워스 왓슨(Willis Towers Watson•WTW)에서 한국 투자 서비스 총괄로 재직하며 한국 내 투자 자문 업무를 이끌고 한국 기관 투자자들에게 자문해왔다. 아비 슈로프 APAC 기관 영업 총괄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한국 기관 사업에 상당히 정통한 신윤현 (Andrew Shin) 부사장이 코헨 앤드 스티어스 팀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그를 영입한 것은 우리가 아시아 지역 내 고객을 위해 지속적으로 헌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아시아 기관 투자자들이 성장